3ds MAX 기초 포스팅 다섯 번째 시간으로 사물에 색상을 넣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죠.
복잡하지는 않고요. 간단하게 툴만 익힌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먼저 아무 오브젝트나 만든 다음 메뉴의 Meterial Editor을 클릭하세요.
Material Editor에는 두 가지 모드가 있는데요.
Compact Material Editor
만약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온다면
첫 번째 빨간 박스 안의 01-Default 선택하고
밑의 빨간 박스가 가르키는 Ambient를 클릭해 보세요.
이제 색상을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정육면체이기 때문에 화면처럼 여섯 가지의 색상을 선택했습니다.
이제 오브젝트에서 마우스 우측 클릭하고
Convert To... → Conver to editable Poly를 선택하고요.
Polygon을 클릭~~
다음으로 정육면체의 면을 하나 클릭 선택하고요.
이제 Meterial Editor에서 지정했던 색깔을 드래그해서
Polygon으로 선택했던 면으로 클릭해 주면 됩니다.
똑같은 방법으로 다른 면도 색상을 지정해 보세요.
Slate Material Editor
이제 다른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서와 같은 방법으로 Polygon으로 면을 하나 선택합시다.
그리고 오른쪽 메뉴에 보면 Set ID와 Select ID를 설정하는 부분이 있을 겁니다.
여기서 Set ID,Select ID를 1로 설정하고요.
나머지 면도 똑같은 방법으로 2~6까지 지정해 주면 됩니다.
이제 Material Editror 창에서 Modes → Slate Material Editor 선택하고요.
다음과 같은 창으로 바뀌게 될 겁니다.
왼쪽 메뉴에서 Multi/Sub-Object를 드래그 해서 화면 중앙으로 끌어옵니다.
그리고 오른쪽에 있는 Set Number 버튼을 클릭합시다.
정육면체의 면의 개수인 6으로 설정하고요.
이제 Standard를 역시 여섯 개 드래그해서 끌고옵니다.
이제 각각의 Standard의 색상을 지정하고요.
화면처럼 Standard를 Multi/Sub-Object에 모두 연결합니다.
그리고 Multi/Sub-Object를 앞서 만든 오브젝트에 드래그해서 클릭하면 되요.
정육면체의 각각의 면을 Set ID로 1~6까지 지정했기 때문에
그에 맞는 Standard의 색깔로 화면처럼 한 번에 정육면체의 색상이 바뀌게 됩니다.
'소프트웨어 > 3ds 맥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s MAX(맥스) #4] 애니메이션 만들기/저장하기 (0) | 2015.07.02 |
---|---|
[3ds MAX(맥스) #3] 신발장 만들기 (연습용) (0) | 2015.06.24 |
[3ds MAX(맥스) #2] 심플한 책상 제작 (기초 연습용) (0) | 2015.06.19 |
[3ds MAX(맥스) #1] 간단한 3D 텍스트 만들기 - Bevel 기능 (0) | 2015.06.09 |